드론 사냥에서 핵융합까지 > 최신소식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최신소식

 

드론 사냥에서 핵융합까지




드론 사냥에서 핵융합까지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22-11-13 20:09 조회 4,151 댓글 0

본문


초강력 레이저가 온다

입력
수정2022.11.14. 오전 9:58
기사원문
찰나 순간 엄청난 출력 낼 수 있어
드론 대응 무기부터 핵융합까지 다양한 활용
한국은 현재 4페타와트급 보유, 수십~수백 페타와트급 검토 중
0005176573_001_20221114103703320.jpg?type=w647
기초과학연구원(IBS)과 광주과학기술원(GIST)가 운영 중인 4페타와트급 초강력 레이저 연구시설. 사진제공=GIST.

레이저(Laser), SF 영화에서나 볼수 있었지만 이미 반도체 등 초정밀 제품은 물론 산업 전반적으로 필수품이 됐다. 최근 들어선 전쟁용 무기는 물론 우주의 비밀 탐구까지 활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미래 산업의 총아라고 불릴 정도다. 우리나라에서도 초강력 레이저를 이용한 대(對) 드론 방어용 무기와 우주 태양광 발전, 핵융합에너지 등을 상용화하기 위한 연구 개발(R&D)이 활발하다. 레이저는 무엇이고 어떻게 만들고 활용되며, 인류의 미래를 어떻게 바꿔 나갈까?



레이저란?



우리 말로는 유도 방출에 의한 빛의 증폭으로 정의된다. 영어로 LASER는 이같은 의미인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의 약자다. 고출력의 전기 에너지를 일정한 장치(발진기)에 주입해 고밀도의 에너지와 고휘도, 단색성((Monochromaticity), 지향성(Diretivity), 간섭성(Coherence)을 갖도록 만들어진 빛 에너지를 말한다. 레이저는 7색으로 분해되는 자연광과 달리 하나의 색깔을 갖는다. 퍼지지 않고 일정한 방향으로 직진한다. 간섭성도 중요한 성질이다.

레이저는 위상이 균일해 약간의 장애물에 부딪혀도 곧 간섭을 일으킨다. 통신, 레이더, 수술, 가공, 측정, 입체 영상 제작 등에 활용된다. 레이저 발진기는 매질(medium), 여기원(exitation mechanism), 광공진기(한쌍의 평행한 거울)로 구성된다. 매질에는 이산화탄소(CO2) 등 기체와 광섬유(fiber) 등 고체, 유기 킬레이트나 희토류 이온이 포함된 무기액과 같은 액체 등이 사용된다. 매질에 들어 있는 활성원자가 받아 들인 에너지는 여기원으로 옮겨갔다가 원상태로 돌아가면서 에너지(레이저의 씨앗)가 방출하며, 이 빛이 반사경 사이를 왕복하면서 증폭ㆍ방출된다. 이같은 유도방출 과정을 통해 생성된 광에너지가 바로 레이저다. 레이저는 매질의 특성 등에 따라 빛의 출력과 속도를 다양하게 바꿀 수 있어 산업 전반분야에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비접촉식 물질 가공이 가능해 형태 변형ㆍ마모 없이 금속ㆍ비금속 등을 마킹ㆍ절단ㆍ용접하는데 필수적인 도구가 됐다.

특히 최근들어 초강력 레이저가 주목받고 있다. 페타와트, 즉 1000조와트 이상의 엄청난 출력을 가진 레이저를 말한다. 2012년 기준 전세계 총 발전량이 2.6페타와트, 지구에 전달되는 태양 에너지가 174페타와트임을 감안하면 얼마나 강한 출력인지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아주 짧은 시간, 즉 펨토초(1000조분의1초)라는 찰라의 순간에만 페타와트급 고출력을 내는 인프라들이 개발되고 있다. 1펨토초는 전 우주에서 가장 빠른 물질인 빛이 겨우 약 300나노미터(㎚) 가는 극히 미미한 시간이다. 레이저의 출력은 주입된 에너지를 지속 시간으로 나누는 값으로 정해진다. 지속 시간을 극도로 짧게 만들고 그 순간 주입된 에너지를 최대화해 고출력을 내는 원리다. 이성구 기초과학연구원(IBS) 초강력 레이저 연구단 연구위원은 "오랫동안 사용한 나노초(10-9승) 레이저는 산업 현장에서 많이 사용하며 피코초(10-12승) 레이저도 쓰이고 있다"면서 "현재 우리나라의 4페타와트급 레이저는 티타늄에 사파이어를 도핑한 매질을 이용하고 있어 오래 사용할 수 있고 광학적 특성도 좋다"고 설명했다.
 

0005176573_002_20221114103703359.jpg?type=w647

 



대(對) 드론 병기 등 전장의 무기로



초강력 레이저 기술이 상용화될 곳으로는 군사 분야가 첫 손에 꼽힌다. 소형 드론, 무인 로봇 같은 적군의 전자 장비를 무력화하기 위한 장비로 개발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광주과학기술원(GIST)가 최근 펨토초 레이저 무기 개발에 들어갔다. 찰라지간이지만 테라와트(1조와트)급 이상의 강력한 펄스 레이저를 발사해 적의 전자 장비를 무력화한다. 연구팀은 기존 레이저 무기가 엄청난 전력이 필요하고 최소 수분 이상 특정 부위를 조사해야 한다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또 초강력 펨토초 레이저의 방향을 빠르게 스캔하면 공중에 필라멘트 플라즈마 방패(Shield) 구조를 형성할 수 있어 방패(Shield) 면적 내를 통과하는 공격 무기의 핵심부를 손상시키는 방어 무기 개발도 가능하다. 또 초강력 펨토초 레이저를 공기 중에 집속해 중금속 등에 조사하면 고전자기장 플라즈마와 방사선이 발생해 순간적으로 고강도 전자기 펄스(EMP)를 낼 수 있다. 적의 통신 장비, 컴퓨터, 전산망, 군사용 장비 등을 마비시키는 무기가 된다. GIST 고등광기술연구원(APRI) 김형택 수석연구원은 ""빠른 속도로 다수의 소형 무기를 무력화할 수 있어 적군의 스마트 공격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0005176573_003_20221114103703397.jpg?type=w647

 



우주 비밀 들여다 본다


초강력 레이저는 또 기초과학, 에너지, 우주 국방 등의 R&D에서 필수적인 수단으로 떠오르고 있다. 초강력 레이저를 통해 찰나의 순간에 엄청난 에너지를 내 우주의 극한 환경을 재현하고 측정할 수 있다. 레이저를 이용한 입자 가속기는 기존 가속기들보다 훨씬 빠르고 효율적인 전자 가속이 가능하다.

특히 청정ㆍ무한ㆍ무공해 차세대 에너지인 핵융합의 주요 수단으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공홍진 카이스트 물리학과 명예교수는 최근 한 토론회에서 "자기장 핵융합과 레이저 핵융합 중 어느 것이 먼저 실현될지는 모르지만 전세계의 선진국들이 레이저 핵융합에 박차를 가하면서 벤처 기업 4개가 창업되는 등 실용화되고 있다"면서 "레이저 핵융합은 유지 보수가 수월하고 경제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우주 태양광 발전소의 전력 송신 수단, 양자 신소재ㆍ플라즈마 물질ㆍ고효율 EUV 광원ㆍ에너지 효율이 획기적으로 높은 소재ㆍ기술 개발에도 활용되고 있다.

이에 세계적으로 초강력 레이저 인프라 구축이 활발하다. 중국이 이미 100페타와트급을 짓고 있고 러시아도 200페타와트급을 설계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GIST의 고등광기술연구소ㆍIBS 초강력레이저 연구단이 4페타와트급 레이저를 구축해 활용 중이지만 최소 수십~수백페타와트급의 초강력 레이저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한국 정부도 올해 초 10억원을 들여 사전 기획 연구에 들어가는 등 본격 검토에 착수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현재로선 어느 정도 규모의 초강력 레이저 인프라가 필요한지 정해지지 않은 상태며 학계의 의견을 모으는 중"이라며 "국내 초강력ㆍ고에너지 레이저와 관련된 현황을 파악하는 한편 타당성 검토ㆍ개념연구ㆍ설계를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www.sajins.net All rights reserved.